교과목개요
- 1학년 이수과목
동물학 및 실험 (Zoology & Lab) |
동물계를 개관하고 동물의 형태, 분류, 발생, 생리, 유전, 생태 및 진화의 관점에서 구조와 기능에 대하여 교수. |
---|---|
식물학 및 실험 (Botany & Lab) |
식물의 형태, 생리, 생태, 진화, 분류 등 식물학 제 분야에 대한 개관. |
- 2학년 이수과목
생물통계학 (Biostatistics) |
관찰자료의 정리 방법, 표본이론을 상술한 다음, 실험을 통해 얻어진 자료의 통계학적 방법의 선택, 적용을 통해서 통계치에 대한 추측통계학적 해석과 생물학적 의미 부여. |
---|---|
생물수학 (Mathematical biology) |
수산자원관리 및 생태학 연구에 이용되는 필수적 수학분야를 교수함. 구체적인 주제로는 미분방정식 (differential equations), 선형대수 (linear algebra), 확률론 (probability), 개체군 및 군집 역학 (population/community dynamics), 소프트웨어/프로그램밍 등이다. |
동물생리학 및 실험 (Animal Physiology & Lab) |
동물들의 호흡, 순환, 소화와 같은 다양한 생리학적인 작용들을 기본적인 생리학적 화학적 원리를 통해 규명하고 이들이 어떻게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에 적응해 왔는지를 이해 |
세포생물학 (Cell Biology) | 진핵세포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소기관, 세포질 및 세포골격 등의 형태적 구조와 구성성분들의 생화학적 특성, 그리고 생리적 기능 및 이들 상호작용 메카니즘을 이해시킨다 |
척추동물비교해부학및실험 (Comparative Anatomy of Vertebrates&Lab) |
척추동물의 형태, 분류, 진화에 관한 내용을 학습하고, 각 분류군별(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외부형태와 내부구조에 대해서는 해부실습을 통해 관련지식을 습득하여 기관 또는 기관계의 계통유연관계를 이해.
|
해양학개론 (Introduction to oceanography) |
수산생물학의 세부 학문 분야를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해양학적 지식을 전달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산학의 기본 이해. |
생화학및실험 (Biochemistry & Lab) |
생화학의 기초지식을 교수하여 생물체의 기본 구성성분 구조 및 기능 이해. |
동물조직학및실험 (Animal Histology & Lab) |
동물조직, 세포의 미세한 구조와 기능을 학습한 후 실제로 동물조직 표본 제작, 현미경적 관찰, 스케치를 통하여 조직의 형태학적 식별 능력 학습. |
분류학개론 (Introduction to Taxonomy) |
종의 개념 및 종분화 기구, 생물 분류 체계에 대한 이해와 채집, 동정, 표본 작성, 명명법 등 분류학의 기초지식 습득. |
자원환경생물학 (Natural resource biology) |
개체군(populations) 및 군집(community) 생태학을 소개하고 그에 관련된 모델링(modeling)을 교수함. |
관상생물학및실험 (Aquarium Biology&Lab) |
관상생물의 종류, 형태, 생태 및 사육에 관한 제반지식을 습득하고, 해양 동식물의 표본 제작, 보관 및 관리 방법을 학습. |
- 3학년 이수과목
무척추동물학 및 실험 (Invertebrate Zoology & Lab) |
무척추동물의 분류학적 위치와 주요 동물문의 기능적 형태, 생태 및 생활사에 관한 내용 지도. |
---|---|
어류학 및 실험 (Ichthyology & Lab) |
어류의 형태, 분류, 생태, 집단유전에 관한 내용을 학습하고, 각 분류군별(원구류, 연골어류, 경골어류) 외부형태와 내부구조에 대해서는 해부실습을 통해 관련 제반지식을 습득. |
조류학 및 실험 (Phycology & Lab) |
조류의 형태, 생리, 생태, 분류 등 조류학 제 분야에 대한 개관. |
해양생태학 및 실험 (Marine Ecology & Lab) |
해양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생물군집과의 관계 및 주요 해양생물 군집의 구조 및
생산기작에 관한 지식 교수. |
캡스톤디자인(1) (Capston design(Ⅰ)) |
자원생물학과 교과과정을 이수하는 학생들이 각 연구실에서 행하여지는 다양한 실험을 체험하고,
그 결과를 실험결과보고서로 작성하는 방법 습득. |
캡스톤디자인(2) (Capston design(2)) |
캡스톤디자인(1)을 이수한 학생들이 각 연구실에서 좀 더 심화된 실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실험결과보고서로 작성하는 방법 습득. |
동물발생학 및 실험 (Developmental Biology&Lab) |
동물의 개체발생에 따른 초기발생과정, 즉 생식세포의 형성 및 성숙과정과 물질대사, 수정 및 난할,
포배형성, 낭배형성과 기관 분화 등의 형태학적 및 기능적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생명발생의 개념 이해. |
수산자원학 및 실험 (Quantitative fisheries management & lab) |
수산자원관리의 목적, 내용을 소개하고, 실제적으로 행해지는 자원관리방법을 교수함. |
분자생물학 (Molecular Biology) |
생물학적 현상을 이해하기위해 현재 사용되는 다양한 분자 생물학적 방법들을 학습. |
유영생물학 및 실험 (Nekton Biology & Lab) |
유영생활의 생활사 중에서, 특히 어류의 초기생활사 생태학을 중점적으로 강의. |
양식학개론 (Introduction to Aquaculture Science) |
수산양식의 기본원리를 현지에 적응시킬 수 있는 지식을 강의하며,
최근에 개발된 새로운 양식기법 논의. |
유전학 (Genetics)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유전현상을 고전적인 멘델리언 유전학으로부터
최근의 분자유전학과 유전공학을 도입. |
현장실습 (Training of Practice) |
학문적으로 습득한 지식을 일정 기간 산업체 또는 관련 기관에서 실시하는 현장 실습 과정을 통하여
산업 현장의 실정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적응력, 응용력 및 문제 해결 능력 배양. |
부유생물학 및 실험 (Planktology & Lab) |
부유생물(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 주요 분류군을 외부 형태를 가지고 대분류,
생태계 내에서 부유생물의 생태학적 역할을 이해하여 해양생태계의 구조와 기능 이해. |
(수산ㆍ해운)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Fisheries & Marine Industry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
수산ㆍ해양 분야 전문계열 교과의 지도에 필요한 교과교제의 연구방법 및 지도법을 학습하여
실제 현장에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 |
- 4학년 이수과목
수산생물학 (Fisheries Biology) |
수산생물의 종류별 생활사를 파악하고, 그 이용방안에 대한 특성을 이해. |
---|---|
수산해양학 (Fisheries Oceanography) |
변동하는 해양환경 속에서 살고 있는 수산생물의 생태, 분포를 이해하며, 더 나아가 수산자원의 가입과정에 대한 가설들을 검토함. |
진화생물학 (Evolutionary Biology) |
생물의 다양성을 개관하고 생물진화의 원리 및 계통유연관계에 대하여 강의. |
보전생물학 (Conservation Biology) |
해양생물종의 집단간, 종간 유연관계 및 해양환경과의 상호관계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하고, 해양생물종 보전을 위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관련 제반지식을 습득. |
어업학개론 (Introduction to Fisheries) |
해양생물의 형태에 따른 어획방법과 어업의 발달과정 및 수산물 이용현황 등을 소개. |
저서생물학및실험 (Marine Benthos&Lab) |
저서생태계의 이해에 필요한 기본적인 이론을 주지, 이해시키며 아울러 실험과 자료분석을 통한 실제적이며 독립적인 기술(description) 능력 배양. |
(수산ㆍ해양)교과교육론 (Theories of Fisheries & Marine Industry Teaching and Learning) |
수산ㆍ해양 분야 전문계열 교과의 지도에 대한 실제와 이론을 정립함으로써 학교현장 교육에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 |
(수산ㆍ해운)교과논리 및 논술 (Fisheries & Marine Industry Logic and Essay) |
수산ㆍ해양 분야 전문계열 교과의 지도에 있어 논리적이며 체계적인 방법을 통한 교육이 가능할 수 있도록 글의 서술과 논리적 구술의 이론을 습득하는 강의. |
수산자원평가 (Fish stock assessments) |
수산자원관리 분야 중 핵심인 자원평가방법론을 소개함. 자원평가에 이용되는 비선형 모델에 있는 모수 (parameters) 추정을 위한 수리적 이론, 프로그래밍, 그리고 추정 결과물 해석 등이 주 내용. |
조류자원생태학 (Ecology of Algae) |
조류 자원 육성, 보존, 관리를 위한 생태생리학적 분야에 대한 개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