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부경대학교 | 고분자·화학소재공학부 에너지화학소재공학전공

학과소개










설립배경

 우리나라 산업구조가 기술 집약형으로 변화함에 따라, 1984년 본 학과는 도료제조와 표면처리의 기초 이론을 확립하고 실무 중심의 인력을 교육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를 통해 가전, 자동차, 조선, 제철, 산업 플랜트 등 중화학 공업 전반에 걸쳐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고급 표면처리 기술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약 400여명의 전문 인력을 양성해왔습니다.


 1997년 부경대학교 통합 후, 학과명은 '표면공학과'로 변경되어 첨단 신소재 연구 분야로 전공을 확대하였고, 1999년 '공업화학과'로 다시 명칭을 바꾸며 정밀화학과 고기능 특수재료까지 연구 분야를 넓혔습니다.


 그리고 2025년 현재 '에너지화학소재공학전공'으로 재탄생하여, 4차 산업혁명과 탄소중립 시대에 부합하는 융합적 전문성 강화를 바탕으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차세대 배터리, 친환경 도료, 고분자 분리막, 탄소중립 촉매 등 첨단 신소재와 환경·에너지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교육 목표와 방향

 

 

 국내 산업이 개방화·국제화되고 기술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으로 평가되는 시대에, 고급 기술과 창의적 역량을 갖춘 인력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화학 공업제품, 고분자 신소재, 정밀화학 제품 등 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분야에서는 기능성, 내구성, 환경친화성 등 첨단 기술이 필수적입니다.
 이에 에너지화학소재공학전공은 유기화학 및 물리화학과 같은 기초과목부터 유기전자신소재, 반도체복합소재, 에너지소재, 전자·에너지재료공학 등의 심화 과목을 포함한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교육과 함께 전자, 자동차, 석유, 조선 분야에 적합한 중화학 제품부터, 유기 태양전지, 반도체 소재, 배터리 소재, 자기조립 및 자가 치유 소재, 기능성 코팅, 나노 제품에 이르기까지 첨단 신소재 분야의 전문 인재 양성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여 창의적이고 역량 있는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다양한 산학협력 및 융·복합 심화 교육 프로그램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