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부경대학교 |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출판
해역인문학총서

출판

해역인문학총서

작성자,작성일,첨부파일,조회수로 작성된 표
[아카이브자료총서3] 한국수산지 2-1 (2023.10.)
작성일 2025-05-23 조회수 22
첨부파일


한국수산지 2-1

  • 저자
    농상공부 수산국
  • 번역
    이근우,서경순
  • 출판
    산지니
  • 발행

    2023.10.31.




책 정보

  • 카테고리
    천문/지구과학
  • 쪽수/무게/크기
    420쪽989g183*247*32mm
  • ISBN
    9791168612105



책 소개

한국 최초의 근대적 수산 조사서이자 인문 지리지 『한국수산지』 번역본 출간

한국 최초의 근대적 수산 조사서이자 인문 지리지인 『한국수산지』 번역본이 출간되었다. 『한국수산지』는 전체 4권으로 구성된 방대한 분량으로, 한국의 지정학적 위치·면적·구획·인구·지세를 비롯하여 강·해안선·항로·등대·기상·해류·조류·수온·수심과 같이 어업과 직접 관련된 사항, 나아가서는 한국 각 연안에서 잡히는 수산물에 이르기까지 매우 면밀하게 조사한 내용이 담겼다. 또한 한국 전통어법은 물론이고 일본 어민들이 한국 바다에서 사용하는 어구 및 어법까지도 소개하고 있다.
『한국수산지』는 을사늑약 이후 제국주의 일본이 자국민의 출어자 육성 및 조선 내 일본인 어촌을 확보하고 조선의 식민지화를 촉진시키려는 목적에서 편찬되었다. 제1권은 인문지리 정보를 담은 제1편과 수산 정보를 담은 제2편으로 구성된다. 제2권에서 제4권은 함경도에서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경기도, 황해도, 평안도의 순서로 각 도별의 연안 정보 및 어업 정보를 정리한다.
새롭게 출간된 『한국수산지』에서는 사진, ‘수산물한일명칭대조표’, 소제목 등을 원문의 순서에 따라 배치하였으며, 원문에 기록된 여러 통계표를 비롯하여 많은 수치의 오류 등을 정정 기록하였다. 그리고 수산물의 명칭에 대하여 통일하여 번역하였다. 예를 들면 ?(온)은 정어리(멸치), 赤魚(적어)는 붉바리, 례(?)는 갯장어, 소(?)는 문어(낙지), 해라(海蘿)는 풀가사리 등이 대표적이다.


목차

제2장 수산물 양식
굴/죽합(대조개)/꼬막/새조개/김

제3장 수산물 제품

제4장 포어 수성과 판매
1. 포어(捕魚) 수송과 판매
2. 판매기관
부산수산주식회사/마산수산주식회사/장승포조합어시장/통영조합어시장/목포어시장/군산수산주식회사/인천수산주식회사/인천항어상회사/주식회사 경성수산물시장/히노마루 어시장/주식회사 용산어시장/진남포수산주식회사/주식회사 평양어채시장/신의주어채시장/안동수산주식회사

제5장 제염업(製鹽業)
1. 총설
2. 염지(鹽地) 및 생산액
3. 제염방법
4. 염업경영
5. 염업상 정부의 시설

제6장 수산물 수출입

제7장 어구 및 어선
다음 [아카이브자료총서4] 한국수산지 2-2 (2023.10.)
이전 [아카이브자료총서2] 한국수산지 1-2 (202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