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부경대학교 |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출판
해역인문학총서

출판

해역인문학총서

작성자,작성일,첨부파일,조회수로 작성된 표
[아카이브자료총서1] 한국수산지 1-1 (2023.10.)
작성일 2025-05-14 조회수 38
첨부파일


한국수산지 Ⅰ-1

농상공부 수산국 저/서경순이근우 역 | 산지니 | 2023년 10월 31일

책 정보

  • 카테고리
    천문/지구과학
  • 쪽수/무게/크기
    320쪽824g184*248*26mm
  • ISBN
    9791168612082






책 소개

한국 최초의 근대적 수산 조사서이자 인문 지리지 『한국수산지』 번역본 출간

한국 최초의 근대적 수산 조사서이자 인문 지리지인 『한국수산지』 번역본이 출간되었다. 『한국수산지』는 전체 4권으로 구성된 방대한 분량으로, 한국의 지정학적 위치·면적·구획·인구·지세를 비롯하여 강·해안선·항로·등대·기상·해류·조류·수온·수심과 같이 어업과 직접 관련된 사항, 나아가서는 한국 각 연안에서 잡히는 수산물에 이르기까지 매우 면밀하게 조사한 내용이 담겼다. 또한 한국 전통어법은 물론이고 일본 어민들이 한국 바다에서 사용하는 어구 및 어법까지도 소개하고 있다.
『한국수산지』는 을사늑약 이후 제국주의 일본이 자국민의 출어자 육성 및 조선 내 일본인 어촌을 확보하고 조선의 식민지화를 촉진시키려는 목적에서 편찬되었다. 제1권은 인문지리 정보를 담은 제1편과 수산 정보를 담은 제2편으로 구성된다. 제2권에서 제4권은 함경도에서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경기도, 황해도, 평안도의 순서로 각 도별의 연안 정보 및 어업 정보를 정리한다.
새롭게 출간된 『한국수산지』에서는 사진, ‘수산물한일명칭대조표’, 소제목 등을 원문의 순서에 따라 배치하였으며, 원문에 기록된 여러 통계표를 비롯하여 많은 수치의 오류 등을 정정 기록하였다. 그리고 수산물의 명칭에 대하여 통일하여 번역하였다. 예를 들면 ?(온)은 정어리(멸치), 赤魚(적어)는 붉바리, 례(?)는 갯장어, 소(?)는 문어(낙지), 해라(海蘿)는 풀가사리 등이 대표적이다.



목차

발간사

서문
본서의 유래

제1편 지리
제1장 위치 / 제2장 면적 / 제3장 구획 / 제4장 인구 / 제5장 지세
제6장 하천 / 제7장 연안 / 제8장 기상 / 제9장 해류 / 제10장 조석(潮汐)
제11장 수온 / 제12장 수색(水色) / 제13장 수심(水深) 및 저질(底質) / 제14장 해운
제15장 통신

제2편 수산일반
제1장 수산물
개요/해수류/어류/패류/조류/기타/고래/명태/조기/도미/정어리(멸치)/삼치/대구/청어/민어/방어/고등어 또는 고도리/갈치/상어/가오리/농어/붉바리/준치/숭어/병어/갯장어/붕장어/달강어/학꽁치/연어/은어/뱀장어/뱅어/망둥어/새우/전복/해삼/굴/문어/오징어/홍합/김/풀가사리/우뭇가사리/다시마/미역

부록: 수산물한일명칭대조표[水産物日韓名稱對照表]


다음 [아카이브자료총서2] 한국수산지 1-2 (2023.10.)
이전 [번역총서9] 해항의 정치사: 메이지에서 전후로(202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