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항의 정치사
메이지에서 전후로
이나요시 아키라 저/최민경 역 | 소명출판 | 2023년 10월 31일 | ISBN | 9791159057571
책소개해항사 연구의 부재를 메우다
일본은 섬나라로 국토 전체에 수많은 해항(海港)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해항사에 대한 연구는 단편적으로만 이루어져 왔는데, 이는 개항 이후 일본에서 해항이 건설되는 과정 자체가 기타 사회 인프라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기 때문이다. 철도나 하천의 경우, 부설·정비가 완료되면 지역 사회는 시각적 효과와 더불어 그 혜택을 즉각 느낄 수 있다. 따라서 과정 상 약간의 갈등이 있어도 그 지역의 이익으로 공유되기 쉽고, 그렇기 때문에 명확한 추진 주체에 의해 실행에 옮겨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근대 해항은 그것이 건설된다고 해서 지역 주민이 바로 체감할 수 있는 이익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오히려 바다와의 거리를 멀어지게 할 뿐이었다. 따라서 근대 일본에서 해항 건설은 지역 이익으로 성립하기가 매우 어려웠고, 그 결과 국가적 차원에서 이를 이끌어 갈 명확하고 일관된 ‘주역’도 없었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관련 연구 또한 충분히 축적되지 못한 상태가 이어진 것이었다. 『해항의 정치사-메이지에서 전후로』는 이와 같은 해항사 연구의 부재를 메우고자 한 책으로, ‘근대 이후 일본의 해항은 어떻게 구상되고 만들어졌을까’라는 질문에 대하여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실증적으로 답한다.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목차발간사한국어판 서문
서장/ 근대 해항사란 무엇인가
제1장/ 일본 해항 행정의 시작유신 관료와 구조약·식산흥업
1. 구조약과 개항 행정2. 식산흥업과 해항 건설-노비루·우지나·모지3. 해항 건설을 둘러싼 경쟁-제1차 요코하마 축항정리
제2장/ 국제 교통망 확충과 일본의 해항지방 장관·의회 정치인과 해항론
1. 해항론의 전개-해항 배치와 지역 사회2. 오사카 축항의 시작-내무성과 지역 사회3. 무역항 제도의 변화-대장성과 지역 사회정리
제3장/ 조약 개정과 해항 행정대장성 관료의 이상
1. 해항 행정을 둘러싼 세 관청의 대립2. 해항 행정 재편-제2차 요코하마 축항과 제1차 고베 축항정리
제4장/ 긴축 재정과 해항 건설지역 기업인의 활동
1. 내무성의 해항 건설2. 시영 축항의 축소-오사카 축항 중단 문제3. 민영항의 적극적 전개-기타규슈 지역 항만 정비정리
제5장/ 정당 내각기의 해항 행정내무성 관료의 리더십
1. 지방항 건설의 전개-후시키·사카이·쓰루가2. 항만협회 설립과 활동정리
제6장/ 전시 체제와 해항 행정체신 관료의 도전
1. 1930년대의 해항 문제-동해 노선과 산업 진흥2. 전시 체제에서 전후로정리
종장/ 국민 국가 시대의 해항
주석부록관련 연표도표 일람참고문헌저자 후기역자 후기찾아보기
* 출처 : 예스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