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부경대학교 | 토목공학전공

공간정보연구실

연구분야

공간정보연구실(Lab. of Geoinformatics)


공간정보공학은 복잡한 지구환경은 물론 고도화된 산업사회의 모니터링과 신속 정확한 정책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경제활동과 생활안전에 필수불가결한 미래 유망 첨단 과학 기술 분야입니다. 더불어 IT시대의 급속한 정보화에 따른 공간정보공학분야의 사회적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종합적인 공간정보공학분야의 전문지식을 갖춘 세계적인 전문가 양성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공간정보공학은 전통적인 지도 제작·활용 기술과 더불어 지리정보시스템(GIS), 원격탐사(RS), 위성측위시스템(GPS), 수치사진측량, 데이터베이스, 위치기반 IT 기술 등을 접목한 새로운 융합 학문으로 발전해 가고 있습니다. 또한 자동차 내비게이션, 포털 지도 서비스, 스마트폰 위치기반 서비스, 3차원 영상 지도 등 실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첨단 학문 분야입니다. 현재 공간정보 분야는 고부가가치 정보 서비스를 위한 정보통신기술(ICT), 모바일 등과의 융·복합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정부에서는 2014년 882명을 수요인력으로 신규창출 하였고, 2017년에는 7,000명을 선회할 것으로 추정되는 등 정부차원의 지원과 발전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공간정보연구실에서는 지적·지리정보의 획득 및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행정업무, 산업활동계획 등을 과학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종합적인 방법론·기술을 연구·개발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실에서는 공공 및 산업분야에서 지리정보시스템(GIS), 원격탐사(RS), 위성측위시스템(GPS) 등의 정보시스템 구축과 이들의 응용분야에서 일익을 담당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습니다.



외부환경 변화에 따른 하천 수량 평가 및 매개변수 추정 지원 시스템 개발, 국토교통부


최근 들어 기후 변화, 도시화, 인구증가 등의 원인으로 유역의 물 순환 변화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수자원 장지종합계획에서 중권역 또는 다목적 댐 유역 중심으로 외부환경 변화에 의한 물 순환 변화량 결과를 제공하고 있으나, 더 작은 유역 단위의 물 순환 변화량이 필요하다.

미래 물 순환 변화량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유역 유출모형을 사용하여야 한다. 유역 유출모형 사용의 적절성은 '어떠한 유역 유출모형을 사용하였는가'와 '모형의 매개변수 추정을 적절하게 하였는가'로 크게 양분할 수 있으며, 양자의 중요성은 동일하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환경(기후, 토지, 물이용) 변화에 의한 표준유역단위의 미래 물 순환변화량을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과 국내·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물 순환 모형인 SWMM 5(Storm Water Management Model 5)의 전용 매개변수 추정지원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 지리정보시스템(GIS) 관련 분야


우리나라의 가뭄 대비 용수공급 기술수준을 검토한 결과, 국가안전관리 세부집행계획에서는 가뭄 단계별(관심, 주의, 경계, 심각)로 댐에서 용수를 제한공급하는 비율을 제시하고 있으나 각 댐의 제한공급 실행 저수량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실무에서는 가뭄의 단계를 판별할 때, 현재의 저수량에 20년 빈도 가뭄의 유입 수량을 더하고, 이 값을 목표 기간 동안의 계획공급량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 다음, 이 비율에 해당하는 용수 제한공급 단계를 가뭄 단계로 한다. 연구에서는 한강의 주요댐에 대하여 용수 제한공급 실행 저수량을 도출한 사례가 있다.

본 과업에서는 국내외 관련 기술을 참조하고 보완하여 가뭄 단계별 댐의 용수 제한공급 기술을 개발한다. 낙동강 다목적댐들에 대하여 각각의 가뭄 시 용수 제한공급 규칙을 개발하며 개발된 기술을 댐 운영의 실제에 부합하도록 기후변화 대응 이수목적 저수지 운영 기술이 되도록 한다.


  • GIS 기반의 토석류 발생가능성 분석 및 토석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연구
  • GIS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 및 산사태 예측 가능성 분선 연구
  • Web GIS 기반의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위한 지리공간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 개발
  • 래스터 데이터의 지도 대수 분석을 위한 GRASS 기반의 웹 시스템 개발
  •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3차원 지도 구현 및 실시간 시각화를 위한 계층구조 구축기법 개발
  • 구글어스와 공간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웹기반 지리정보 표출 시스템 개발
  • Web GIS 시스템을 통한 고해상도 영상지도의 속도향상을 위한 연구
  • 우리나라와 일본의 국가 GIS 추진전략 및 유비쿼터스 정책 비교분석


위성측위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성항법시스템입니다. 단순한 위치정보 제공에서부터 항공기·선박·자동차의 자동항법 및 교통관제, 유조선의 충돌방지, 대형 토목공사의 정밀 측량, 제도제작 등 광범위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습니다.


- 위성측위시스템(GPS) 관련 분야


  • 위성측위 정확도 향상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 정밀 3차원 측지망 구성
  • 국가기준점 관리를 위한 온톨로지 모델링과 적용 방안
  • Web 2.0기반 국가기준점 어플리케이션 설계
  • RFID 기반기준점 형태 및 제공정보 관련 선호도 연구


지구환경 원격탐사(Remote Sencing, RS)


기상·기후·지표면·해양 등의 지구환경 자료를 직접적인 접촉 없이 원거리에서 반사 또는 방출되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관측하는 기술로서 지구환경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응용할 수 있습니다. 원격탐사는 비교적 짧은 시간에 넓은 영역을 한 번에 관측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지구 환경 원격탐사(RS) 관련 분야


  •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 처리 분석
  • 해안지역 변화 탐지 및 산사태 위험지도 제작
  • RS와 GIS를 이용한 해양환경 특성 연구
구성원





논문/특허/저서